평소처럼 작업을 하기 위해 유니티를 열고 실행을 시키자 안전 모드로 열리면서 rigidbody가 있는 줄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가벼운 문제인 줄 알고 그 줄을 주석으로 처리하였으나 다시 들어가서 실행을 시키니 모든 오브젝트의 colloider와 rigidbody에서 경고가 뜨며 물리 작용이 사라졌다.
원인을 찾아보니 Packages 폴더 내부가 완전히 비어있었다.
다른 프로젝트 파일에 들어가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Unity 내부 문제라고 생각하였다.
마침 라이선스를 신청할 때 뜨던 오류가 생각났다.
이에 Unity 서버 문제라고 생각하여 라이선스 서버 연결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다.
인터넷에 찾아본 결과 C: > ProgramData > Unity에 들어가서 Unity_lic.ulf 파일을 삭제하라는데 나는 Unity 폴더에 이 파일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았다.
WIN + R > services.msc > Windows Event Log를 찾아서 다시 시작하면 해결된다고 해서 이 방법도 시도해 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만약 Uniry Hub 베타 버전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Uniry Hub를 다운그래이드 하는 방법도 있지만 나는 베타가 아니기 때문에 이 방법도 시도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Uniry Hub를 업그래이드 해봤다.
거짓말처럼 오류가 해결되었다.
Packages 폴더도 정상적으로 돌아왔고 이에 따라 기존 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되었다.
오류가 발생하면 다양하게 시도해 보는 게 좋은 것 같다.
'Tip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vscode와 유니티 연결 (0) | 2024.03.28 |
---|---|
[Unity] 유니티와 Github 연동하기 -3 (Filename too long 오류해결) (0) | 2024.03.16 |
[Unity] 유니티와 Github 연동하기 - 2 (LF will be replaced by CRLF... 에러 해결법) (0) | 2024.03.16 |
[Unity] 유니티와 Github 연동하기 -1 (0) | 2024.03.16 |